청해백화::슬기로운 공부습관

반응형

부모로서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과 학부모로서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은 달라집니다. 부모로서 '건강하게만 자라 다오'를 외치다가도 학부모로서는 '공부도 잘했으면'하는 마음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 중심에 누구나 수학 교과목을 떠올리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포자, 수학을 포기하는 자는 왜 생기게 됐는지. 수포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수포자는 언제부터 생기나

초등학생이 제일 좋아하는 과목은 뭘까요? 아이들을 학교에서 무슨 시간을 제일 기다릴까요? 어떤 수업시간에 제일 제미있고 신나게 수업할까요? 어떤 질문에도 수학이라는 대답은 나오기 어렵습니다. 아이들에게 수학은 그만큼 재미없고, 어렵고, 힘든 과목이라고 인식되어 있지요. 왜 그럴까요? 태어나면서부터 나이를 세고, 달력을 보고, 하나 둘 셋을 익히며 살아왔는데 수놀이를 그렇게 싫어하게 된 이유가 뭘까요? 왜 수학을 몇 년도 배워보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이 벌써부터 수학을 싫다고 얘기하는 걸까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포자는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서서히 드러납니다. 그냥 수학을 등한시하고 흥미를 잃고 안하다 보면 본인이 의도하지 않아도 스스로 수학 과목을 이해할 힘을 잃어가게 되는 것이죠. 왜 힘을 잃었을까요?

초등학교 4학년 수학 단원 목차를 한번 볼까요?

 

  • 큰 수
  • 각도
  • 곱셈과 나눗셈
  • 평면도형의 이동
  • 막대그래프
  • 규칙 찾기

어떤가요? 손가락으로만 할 수 있었던 셈을 천을 넘어 만단 위, 억 단위, 조 단위까지 읽고 셈하려니 수체계를 이해해야 해서 힘들어합니다. 각도와 평면도형을 이해해야 하니 도형의 구조 전반을 이해해야 하는 게 힘들다고 얘기합니다. 막대그래프를 배우면서 통계자료를 도식화하는 작업을 스스로 해보게 되고 규칙을 찾는 것에서 패턴을 스스로 사고해야 하니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죠. 여기에 곱셈과 나눗셈은 보너스처럼 단순 연산이니 자신 있는 단원으로 보일 수 있으나 간단한 연산이 어려운 게 아니라 학생들은 문장제 문제를 읽고 식을 세우는 것을 어려워하니 곱셈과 나눗셈 단원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 시기부터 교실에서 수포자는 생기게 됩니다. 

 

 

 

수포자를 만드는 결정적인 이유

왜 학생들은 이해하지 못한 채 학습하고 있는 걸까요? 흔히 말하는 수학 머리가 없어서 일까요?  

제 나이에 배워야 하는 학습 내용을 선행으로 해버려서 배웠는데도 못한다는 자괴감도 생기게 됩니다. 우리 아이들 선행을 얼마나 시키고 계시나요? 학습의 보충을 위해 학원을 찾는 것이 맞을 텐데 요즘은 앞뒤가 바뀌어 학원의 레벨테스트를 위해 또 다른 학원을 다니게 됩니다. 한 학기 선행이 모자라 3년 선행을 하는 학생도 많습니다. 초등 진도를 단기간에 끝내고 중학과정을 배우는 초등학원도 많습니다. 누구는 한 바퀴를 돌렸네 두 바퀴를 돌렸네 이런 얘기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말이에요. 함수 문제를 잘 푸는 아이에게 함수가 뭐냐고 물어보면 제대로 답하는 아이는 거의 없습니다. 방정식 문제는 기가 막히게 잘 푸는데 방정식이 뭐냐고 물으면 한마디로 말할 줄 아는 학생들이 별로 없습니다. 문제만 풀면 되지 그게 뭐 대수냐고 물을 수 있겠지만 잘못의 시작은 여기에 있습니다. 겉 핥기 식으로 진도만 빼고 있는데서 수포자는 서서히 늘어납니다. 생각할 힘은 어느 날 갑자기 막 생기는 게 아닙니다. TV에 보면 초등학생이 고등학교 미적 문제를 너무 잘 푸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TV에 나오는 것 아닐까요? 우리 아이들이 다 그런 건 아니고 그럴 필요도 없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알려주는 유형별 방법대로 단지 끼워넣기식의 문제풀이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생각할 힘이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것으로 수학 실력이 향상되고 있다고는 말할 수없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성장하고 생각할 힘을 키워서 덧셈하는 방법을 익혀서 스스로 곱셈의 필요성을 느껴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응용문제를 못 푸는 학생들은 문장을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이유가 대부분입니다. 왜냐면 생각하는 힘을 키워볼 사이도 없이 진도를 나갔을 테니까요.

 

항상 강조하는 것이지만 무엇을 얼마나 풀었는가 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풀었는지가 중요합니다. 

무엇을 위해 무리한 선행을 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봤으면 합니다. 

초등학생은 아이가 스스로 학원을 선택하고 다니고자 하지 않습니다.

부모의 손에 이끌려 아이가 학원에서 무리한 선행을 하고 있다면 득 보다 실이 많을 수 있음을 함께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부모의 불안감 때문이라면

아이를 수포자로 만들고 싶어서 학원에 보내시는 학부모가 어디 있을까요. 학원에 가서 상담을 받으면 벌써 늦었다거나, 초등학교 3학년 때 결정이 난다거나, 왜 여태껏 아이를 방치했냐 묻거나 하는 등의 말로 부모의 불안감과 자책감이 드는 말들을 많이 듣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학원에서는 어떤 수업을 하는지 상담을 받아봤는데 어디까지 배웠냐고 물으시길래 그때 당시 배우는 수학 단원을 얘기했더니 수학학원 상담 선생님이 웃으시더군요. 이 학생은 우리 학원에서 들어올 반이 없다는 겁니다. 배우려면 초등학교 2학년 아이들과 함께 배워야 하는데 그건 좀 그렇지 않겠냐고 얘기하면서요. 초등학교 5학년 아이들이 중학교 2학년 과정을 하고 있다고 얘기하면서 레벨테스트를 받으려면 과외를 하던지 해서 그 과정에 맞춰오라는 거였습니다. 참 기가 막혔습니다. 그런 얘기를 들으면 부모는 불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내 아이만 뒤쳐지는 게 아닌가 싶어서요. 

 

그런데 분명한 건 누구에게나 시간은 똑같습니다. 내 아이가 단단하게 복습하고 다지고 가면 느린 게 아니라 제 때에 더 바르고 옳게 알고 학습할 수 있음을 부모님들이 잘 믿고 이겨냈으면 좋겠습니다. 빠르게 집을 지을 수 있지만 바람 불면 무너질 집을 짓는 것보다 기초공사 튼튼하게 하고 단단하게 지은 집은 비바람에도 끄떡없음을 잘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자아효능감이란

자아효능감이란 자아개념의 측정변수로 특정의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특정의 일을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에 관한 스스로의 믿음과 관련된 개념으로 특정한 일에 대한 인식을 얘기합니다.

자아효능감이 높으면 어려운 과제를 선택하거나, 목표를 높이 세우며, 오래 씨름하게 되고 과제에 몰두하며 자신 있어합니다. 높은 효능감은 과제를 더 열심히 하게 만들며 불안감과 두려움을 감소시킵니다.

자아효능감이 낮으면 염려하거나 다른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내 아이 수포자로 안 키우려면

무리한 선행은 자아효능감을 낮추게 되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선행은 초등학생들이 하는 것보다 생각하는 힘을 초등 6년 동안 잘 키워서 중학교 이후 해도 늦지 않습니다. 

우리 아이가 자아효능감 높은 아이로 자라길 바라지 않으시나요? 

 

우리 아이에게 맞는 발걸음으로 수학 학습을 하고 있을 때 자아효능감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보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코로나로 인한 초등학생 학습격차 해소방법

초등학교 고학년 겨울방학 수학 공부법

수학을 왜 배우는 걸까?

선행학습, 심화학습 그것이 문제로다

중학교 때까지 잘했던 수학, 왜 고등학교에서는 어렵게 느껴질까?

댓글과 공감은 사랑입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