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겨울방학이 시작되었습니다.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이 많을 것 같아요. 1년 내내 등교도 많이 제대로 못하고 새 학년이 시작되면 학습에 적응하기 쉽지 않을 것 같아 더 걱정입니다. 그래도 온라인 수업을 통해서 보고 익힌 것들은 제법 되더라고요. 익힌 내용들을 다시 한번 잘 다듬는 시간이 되어야 신학기에 당황하지 않고 학교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겨울방학 기간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학교별로 상이하지만 12월 30일 경부터 1월 말일 경입니다. 총 1개월 정도가 되네요. 1월 말에 개학을 하고 한 열흘 정도 수업을 하고 나면 종업식 후 다시 또 봄방학에 들어갑니다. 중간에 개학하는 기간이 있긴 하지만 12월 말부터 2월 말까지 두 달 정도는 겨울방학기간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네요.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아이들과는 다르게 엄마들은 마음이 바빠집니다. 과목이 늘어나고 내용이 많아지고 그 깊이가 조금씩 깊어진다는 것이 눈에 보이기 때문이죠. 다행인 건 이 시기 아이들은 스펀지처럼 쭉쭉 받아들일 수 있는 학습 시기입니다. 조금씩 건드려만 줘도 앞의 내용을 잘 기억하고 연관시킬 수 있죠. 그래서 복습이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반드시 해야 할 과목은 무엇일까요?
국어, 영어, 수학, 과학입니다. 그중에서도 제일 걱정되는 수학 학습방법을 나눠봅시다.
이 시기에 배운 교과내용들은 학년을 거듭해도 단원명이 비슷합니다. 전체적으로 먼저 배우고 나서 조금씩 살을 붙여나가는 학습이 학년을 올라가면서 진행됩니다.
효과적인 수학 복습 방법은 무엇일까요?
집에 있는 문제집을 활용합니다. 처음 배우는 내용이 아니고 이미 학습한 내용을 복습할 때에는 누군가의 설명을 듣지 않고 스스로 읽고 이해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초등학교 아이들이 많이 보는 문제집은 우공비와 우등생 시리즈입니다. 제일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합니다. 오늘은 우공비 시리즈를 한번 살펴볼까요?
한 권 같지만 세 권의 효과가 있는 책입니다. 책의 구성이 진도 비법책, 시험 비법책, 단원평가로 나눠져 있기 때문이죠.
첫 번째 구성은 진도 비법책입니다.
1. 단원 도입
2. 개념 잡는 비법
3. 실력 쌓는 비법
4. 서술형 잡는 비법
5. 단원 평가
두 번째 구성은 시험 비법책입니다.
각종 시험에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3단계 평가로 구성하였습니다.
1. 개념+확인 문제
: 단원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확인 문제를 통해 중요한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합니다.
2. 단원 평가 문제
: 단원평가, 수시평가, 서술형 평가 등 모든 학교 시험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문제로 구성하였습니다.
3. 서술형 정복 문제
: 학교 시험에서 점점 강화되고 있는 서술형 평가에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힘을 길러 주는 창의 서술형 문제로 구성하였습니다.
오늘부터 한 달간 하루에 한 단원씩 복습해 보는 건 어떨까요?
목차에 따라 6개 단원을 하루에 한단원씩 복습해봅시다.
겨울방학 동안의 복습으로 학습에 자신감을 키우고 신학기를 대비합니다!
컨설팅에서 알려주지 않는 자소서 쓰는법 (0) | 2021.01.15 |
---|---|
예비고1 겨울방학 수학 공부법 (0) | 2021.01.13 |
영어 문법 공부 어떻게? (0) | 2020.10.13 |
수학을 왜 배우는 걸까? (0) | 2020.09.16 |
선행학습, 심화학습 그것이 문제로다 (0) | 2020.09.16 |